공인IP는 전세계 어디에서나 유일성을 갖는 IP이고, 사설IP는 정해진 영역 안에서만 유일성을 갖는 IP이다.
따라서, 우리 회사에서 쓰이는 사설IP가 여친이 다니는 회사에서 동일한 사설IP로 존재할 수도 있다.
커플 사설 IP...?? ㅎㅎ
공인IP를 할당할 수 있는 IP 자원체계의 한계로 인해, 아래와 같이 사설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할 수 있는 주소의 대역이
정의되어 있다. 이러한 체계가 없다면 공인IP와 사설IP가 혼재되어 엄청난 IP 충돌이 발생하게 될 것이다.
사설 네트워크 주소
A Class : 10.0.0.1 ~ 126.255.255.255 // 로컬, 지역, 국가 단위
B Class : 127.0.0.1 ~ 191.255.255.255 // 회사, 공공기관 단위
C Class : 192.168.0.1 ~ 223.255.255.255 // 보통 집에서 사용, 이론상 약 250대까지 가능
D Class : 224.0.0.0 ~ 239.255.255.255 // 멀티캐스팅용 주소, 개인 및 단체 사용 못함
E Class : 240.0.0.0 ~ 255.255.255.255 // 연구목적용, 개인 및 단체 사용 못함
나의 사설IP에 대한 공인IP 주소 확인하기
NAT의 동작원리
사설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에서 DAUM 홈페이지에 접속한다고 생각해보자.
DAUM 서버는 공인 IP로 대외적으로 오픈되어 있기 때문에, 사설 네트워크에서 DAUM 서버에 접속하는데는 개념상 문제가 없다. 그런데, DAUM 서버에서는 사설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에 홈페이지 내용을 어떻게 전달할 수 있을까...?
이렇게 사설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가 외부의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이다.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8 제품키 변경하기 (0) | 2014.05.13 |
---|---|
Network 명령어 - nbtstat (0) | 2014.02.27 |
Network 명령어 - nslookup (0) | 2014.02.18 |
원격데스크톱 연결할 때 <빈 암호 사용 제한> 해제하기 (0) | 2014.02.17 |
댓글